Backend

스프링 부트에 대해 공부하다보면 Maven과 Gradle이 계속 눈에 밟힐 것이다. (아닐 수도 있고) Gradle이 Maven보다 더 최근에 나온 빌드 도구라는 것 말고는 아는 게 없어서 공부하는 김에 포스팅하게 되었다. 이 두 가지 빌드 관리 도구가 어떤 역할을 하는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보자.    ⚒ 빌드 관리 도구(Build Tool) 빌드 관리 도구란 프로젝트에서 필요한 xml, properties, jar 파일들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빌드해주는 도구이다. 소스 코드를 컴파일, 테스트, 정적 분석 등을 하여 실행가능한 앱으로 빌드해준다. 프로젝트 정보 관리또한 해주고 테스트 빌드, 배포 등의 작업까지 진행해준다. 외부 라이브러리를 참조하여 자동으로 다운로드 및 업데이트 관리까지 해주는 역할..
이제부터 클라우드 환경에서 RDS와 EC2를 사용하여 직접 EC2 환경에서 내가 만든 로컬 게시판을 빌드해보겠다. 첫 번째 단계로 내가 만들었던 코드들을 github에 올리는 과정이 필요하다. git을 활용하여 직접 내 계정과 연결하여 코드를 commit하고 push하는 방법도 있지만 IntelliJ에서 쉽게 commit과 push를 하는 방법이 있다. 후자의 방법으로 github에 올려보겠다. 너무 간단하고 편한 방법이다.  이렇게 왼쪽 화면의 두 번째 부분이 commit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인데 여기서 github에 올릴 수 있다. 사진에선 이미 내가 실습으로 올렸기에 바뀐 내용이 없는데 여기서 체크박스를 누른 뒤 commit anyway and push를 하면 gui 상에서 바로 올릴 ..
나는 스프링 부트에 대해 거의 모르는 우주 먼지이다. 그러나 독학을 하면서 내가 즐겨 듣는 유튜브와 aws 캠프 강사님께 물어보며 직접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스프링에 대해선 이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지속적인 공부와 포스팅을 이어서 할 것이다.     우선 프로젝트 기획 먼저 해보자Spring boot 활용해서 로컬에서 게시판 띄우기aws EC2, RDS 생성하기EC2에서 환경 구축(웹 서버, jdk, gradle)rds db 연결쿼리문 작성 → 연결.사용할 프로그램은 IntelliJ, mariaDB, workbench, spring boot, mobaXterm, aws, ec2, rds이다.         1. 로컬에서 먼저 완료하기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서 스프링 부트를 사용할 것이다. 어렵지 않은 게시판..
hskhsmm
'Backend'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