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방면의 토픽

최근에 난리가 난 하나의 이슈가 있다. 전 세계에선 아주 뜨거운 감자인 내용이다. 바로 MS 클라우드 서비스 장애 사태이다. 클라우드를 공부하는 사람의 입장으로서 이 부분이 너무 궁금하여 알아봤고, 이유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다. 어떤 문제가 생긴 걸까? 2024년 7월 19일 한국 시간 기준 오후 1시부터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 대응하는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사의 팰컨 센서 EDR 보안 솔루션의 오류로 전세계적인 전산망 마비 및 서비스 장애가 발생하였다. 팰컨 센서는 컴퓨터, 서버, 모바일 장치 등 개별 기기(엔드포인트)를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보안 솔루션의 중요한 구성 요소인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증상은 주로 windows 10이 설치된 PC에 블루스크린이 표시되고, 계속해서 재부팅 되는 형태로..
버퍼링이라고 생각하면 보통 어떤 생각이 들까?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유튜브 보다가 버퍼링이 한 번씩은 걸려봤을 것이다.  그렇기에 버퍼링이라고 하면 렉? 렉이 걸리는거 말하는 건가? 라고 할 수 있다.      사실 버퍼링은 데이터 전송 및 처리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기술이다. 데이터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데이터 흐름을 조절하는 중간 저장 매커니즘이다. 데이터를 버퍼(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여 일시적으로 모아두고, 필요한 시점에 이를 한꺼번에 처리하거나 전송하는 과정이다.      버퍼링을 사용하는 주요 목적은 크게   1. 속도 차이 조정 -> CPU와 입출력 디바이스 간의 속도 차이를 해결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에 도움을 줌 2. 데이터 스트리..
요즘 짬내서 헬스를 하는 동안 나는 주로 코딩 강의나 노래 듣기, 혹은 유퀴즈나 알쓸신잡 같은 프로그램들을 보는데, 하나 흥미로운 주제를 발견하여 소개하고 싶어 포스팅한다.      누군가를 엄청 좋아할 때.. 눈 앞의 그 사람 말고 모든 것이 페이드 아웃 되는 경험 쯤은 해봤을 것이다. 그렇지 않았다? 누군가를 열렬히 좋아해본 적이 없다고 생각하면 된다. 혹은 기억이 나지 않거나..       우선 사랑은 머리로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심장이 뛰니까 사랑은 가슴으로 하는 것?   과학자들은 눈의 시신경이 뇌에 연결되어있다는 것을 발견했고 뇌가 감각을 경험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심장이 더 콩닥콩닥 뛰는 것 때문에 사랑은 가슴으로 하는 것이 아니냐는 말이 있는데 뇌가 담당하는 것이다.  뇌가 만들..
거대한 우주가 있다.         저 조그마한 1픽셀에 담겨있는 점은 무엇일까?        먼지? 우주 쓰레기?            바로 우리가 사는 지구이다.  저 창백한 푸른 점이란 사진은 61억 킬로미터 떨어진 거리에서 보이저 1호가 촬영한 지구의 사진이다. (TMI. 보이저 1호는 태양으로부터 약 242억 8000만 km정도 떨어져 있고 태양계 밖을 나가서 시속 6만 1000km의 속도로 우주를 항해하고 있다. 이렇게 속도가 빨라진 이유는 스윙바이 효과라고 해서 다른 자연 천체의 중력을 이용하는 가속 방법 덕분이다. 이러한 기법을 사용해서 우주선은 가속과 감속은 물론, 방향을 전환할 수도 있다.)            저 사진이 더 감동을 주는 이유는 바로 '코스모스'의 저자이자 천문학자인 칼 ..
hskhsmm
'다방면의 토픽'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