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관리사 2급을 취득하면서 공부했던 문제를 다시 한 번 짚어보겠다.
서브넷팅
IPv4는 32bit(4byte) 길이로 구성된 논리적 주소체계이다.
우리가 흔히 확인하는
이런 cmd에서 볼 수 있는 ip주소는 10진수 체계이다.
2진수로 바꾸면 11000000.10101000.00111000.00000001이 된다.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를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누는 데 사용된다. 네트워크 영역을 분리시킨다고 생각하면 된다. 1로 설정된 비트는 네트워크를 나타내고 0으로 설정된 비트는 호스트를 나타낸다. 서브넷마스크는 네트워크의 범위를 설정하고 IP 주소의 유효 범위를 제한하여 효율적인 IP 관리와 보안을 가능하게 한다.
그렇다면 서브넷팅이란 무엇일까?
서브넷팅이란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여 Host ID를 Network ID로 변환하게 하는 것이다.
2진수로 표현했을 때 Network ID 부분은 1이 연속적으로 있어야 하고 Host ID 부분은 0이 연속적으로 있어야 한다.
중간에 1이나 0이 섞여있어서 IP처럼 보이면 안된다.
이제 문제를 풀어보자.
1.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Hong 사원은 C Class 주소의 네트워크를 가지고 하나의 서브넷 당 6개의 호스트를 갖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하고자 한다. <제시문제>에 알맞은 네트워크 정보를 설정하시오.
1. IP : 192.168.100.59
2. Subnet : 하나의 서브넷은 6개의 호스트를 갖는다.
3. Gateway : 192.168.100.62
4. DNS : 192.168.100.245
풀이 ↓
1 1 1 1 1 1 1 1
128 64 32 16 8 4 2 1 서브넷 수(반)
2 4 8 16 32 64 128 256 호스트 수(반 인원)
서브넷 수 = 반(학급)
호스트 수 = 반의 인원 수
서브넷 마스크 주소 = 256 - 호스트수
(※ 우선 위의 표를 그려놓고 시작하기)
1. 우선 하나의 서브넷은 6개의 호스트를 갖는다
→ 이 내용으로 서브넷마스크 주소를 구해야함.
6은 4와 8사이이며 4는 6보다 작기에
포함시킬 수 없기에 8에 해당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렇게 되면 서브넷 마스크 주소는
256 - 8 = 248 이렇게 된다.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248이 되고
IP 주소 192.168.100.59가 포함된 네트워크 블록을 찾기 위해, 이 주소가 포함된 8개의 IP 주소 범위를 확인해 보면 이렇게 된다:
- 192.168.100.0 ~ 192.168.100.7
- 192.168.100.8 ~ 192.168.100.15
- 192.168.100.16 ~ 192.168.100.23
- 192.168.100.24 ~ 192.168.100.31
- 192.168.100.32 ~ 192.168.100.39
- 192.168.100.40 ~ 192.168.100.47
- 192.168.100.48 ~ 192.168.100.55
- 192.168.100.56 ~ 192.168.100.63 ← 192.168.100.59가 속하는 범위
따라서 네트워크 ID는 192.168.100.56이고,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192.168.100.63이다.
2. IP 주소와 서브넷마스크를 가지고 네트워크 ID를 구해보자.
172.168.102.5/19
서브넷 마스크의 1비트가 19개이므로
11111111.11111111.11100000.00000000이 서브넷마스크가 된다.
이를 10진수로 바꾸면 255.255.224.0이 되고
256-224는 32이므로 IP 호스트는 32개,
32 x 8 = 256이 되므로 반은 8개.
네트워크 ID는
172.168.0.0 ~ 172.168.31.255
172.168.32.0 ~ 172.168.63.255
172.168.64.0 ~ 172.168.95.255
172.168.96.0 ~ 172.168.127.255 -> 이 안에 IP가 들어가므로 네트워크 ID는 172.168.96.0이다.
3. 서브넷이 최대 25개 IP Address를 필요로 할 때 서브넷 마스크는?
서브넷이 25개면 11111111. 11111111. 11111111.11100000이므로
255.255.255.224이다.
라우터 예제 풀이
icqa 자료실에서 라우터 예제 프로그램을 다운받을 수 있다. 여기서 실제 시험을 보듯이 풀 수 있다.
1. FastEthernet 0/0의 IP를 192.168.0.100/24로 설정하고 활성화하시오.
en > conf t > interface fastethernet 0/0 > ip add 192.168.0.100 255.255.255.0 > no shutdown > end > copy r s
2. Serial 2/0의 대역폭을 2048로 설정하시오.
en > conf t > interface serial 2/0 > bandwidth 2048 > end > copy r s
3. Serial 2/0의 클럭 속도를 72K로 설정하시오.
en > conf t > interface serial 2/0 > clock rate 72000 > end > copy r s
4. FastEthernet 0/0의 Description을 설정하시오. (Description : ICQA)
en > conf t > interface fastethernet 0/0 > description ICQA > end > copy r s
5. Serial 2/0을 사용 가능하게 IP주소를 192.168.0.101/24와 두번째 IP 192.168.0.102/24로 설정하고 활성화하시오.
en > conf t > interface serial 2/0 > ip add 192.168.0.101 255.255.255.0 > ip add 192.168.0.102 255.255.255.0 secondary > no shutdown > end > copy r s
6. 기본 게이트웨이를 설정하시오. (IP : 192.168.0.10)
en > conf t > ip default-gateway 192.168.0.10 > end > copy r s
7. DHCP 네트워크를 192.168.100.0/24 서버이름은 'icqa'로 설정하시오.
en > conf t > ip dhcp pool icqa > network 192.168.100.0 255.255.255.0 > end > copy r s
8. Telnet에 접근하는 Password를 icqa로 설정하고 로그인하시오.
en > conf t > line vty 0 4 > password icqa > login > end > copy r s
9. Telnet 연결 후 3분 50초 동안 입력이 없으면 세션이 자동 종료되도록 설정하시오.
en > conf t > line vty 0 4 > exec-timeout 03 50 > end > copy r s
10. console 0의 Password를 ICQA로 설정하고 로그인하시오.
en > conf t > line console 0 > password ICQA > login > end > copy r s
11. Hostname을 network2로 변경하고 console 0의 Password를 route5로 변경 후 로그인하시오.
en > conf t > hostname network2 > line console 0 > password route5 > login > end > copy r s
12.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하시오.
en > show ip route > copy r s
13. 접속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하시오.
en > show user > copy r s
14. 소프트웨어 버전과 IOS 버전 등을 확인하시오.
(정보가 길어서 직접 입력하겠음)
en ▶ show version ▶ copy r s
18. Serial 2/0에 frame relay 방식으로 캡슐화하시오.
en > conf t > interface serial 2/0 > encapsulation frame-relay > end > copy r s
19. access-list 1이 설정되어 있을 때 FastEthernet 0/0에 적용하시오.
en > conf t > interface fastethernet 0/0 > ip access-group 1 in > ip access-group 1 out > end > copy r s
20. 디폴트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저장하시오. (IP : 192.168.0.10)
en > conf t > ip default-network 192.168.0.10 > end > copy r s
21. 도메인 이름을 설정하시오. (Name : AAAA)
en > conf t > ip domain-name AAAA > end > copy r s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느려터진 웹, 캐시로 해결하자 (0) | 2025.02.14 |
---|---|
방화벽의 발전 과정 (6) | 2024.10.01 |
패킷의 생성 원리와 캡슐화 (4) | 2024.08.23 |
NAT란 무엇일까? (46) | 2024.08.09 |
프록시의 구조와 작동원리 (37) | 2024.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