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Java)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1995년에 선보인 이래로 매우 인기 있는 언어 중 하나이다.
여러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Write Once, Run Anywhere(WORA)"라는 개념으로 유명하다.
이는 자바 프로그램이 한 번 작성되면 여러 운영 체제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자바의 주요 특징과 개념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
자바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클래스와 객체를 기반으로 한다.
이를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플랫폼 독립성
자바는 자바 가상 머신(JVM)에서 실행된다.
따라서 자바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어떤 운영 체제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ction)
자바는 메모리 관리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가비지 컬렉션 기능을 제공하여 개발자가 명시적으로 메모리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
멀티스레딩 지원
자바는 멀티스레드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며, java.lang.Thread 클래스와 java.util.concurrent 패키지를 통해 스레드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외 처리(Exception Handling)
자바는 예외 처리를 위한 강력한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프로그램의 안정성을 높인다.
풍부한 표준 라이브러리
자바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풍부한 표준 라이브러리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는 데이터 구조, 입출력, 네트워킹, 그래픽 처리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백엔드 시스템 및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자바는 대규모 시스템 및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특히 기업 환경에서 안정성과 성능이 중요한 백엔드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번 코너에선 객체 지향 언어의 왕이라고 할 수 있는 자바의 자료형, 변수, 상수 개념 및 사용 대해서 공부해볼 것이다.
기본적으로 인텔리제이와 jdk를 설치했다는 기준으로 문법적인 부분을 공부할 것이다.
(Java) JDK 및 IntelliJ 설치하기
1) JDK 설치하기 (1) Adoptium 사이트 접속 후 JDK 파일 다운받기 https://adoptium.net/ Home | Adoptium The Adoptium® Working Group The Adoptium Working Group promotes and supports high-quality runtimes and associated technology for use across
shuu.tistory.com
이 곳에서 설치하면 된다.
이번 세션이 끝난 후에 spring Boot 포스팅도 할 것인데 spring.io 사이트의 원만한 지원을 위해서 최소 17버전 이상을 까는 것을 추천한다.
자료형
자료형이란 자료의 형태, 즉 데이터의 형태라는 뜻이다. 자바에는 여러 자료형이 있다.
각각의 자료형의 예시를 들어보자
1.byte : 1 바이트 크기의 정수형 자료형으로, -128부터 127까지의 값 저장 가능.
- 예시: byte num = 10;
2. short : 2 바이트 크기의 정수형 자료형으로, -32,768부터 32,767까지의 값 저장 가능.
- 예시: short num = 1000;
3. int : 4 바이트 크기의 정수형 자료형으로, -2,147,483,648부터 2,147,483,647까지의 값 저장 가능.
- 예시: int num = 1000000;
4. long : 8 바이트 크기의 정수형 자료형으로, -9,223,372,036,854,775,808부터 9,223,372,036,854,775,807까지의 값 저장 가능.
- 예시: long num = 1000000000L;
5. float : 4 바이트 크기의 실수형 자료형으로, 소수점 이하 6자리까지의 값 저장 가능.
- 예시: float num = 3.14f;
6. double : 8 바이트 크기의 실수형 자료형으로, 소수점 이하 15자리까지의 값 저장 가능.
- 예시: double num = 3.14159265358979323846;
7. char : 2 바이트 크기의 문자형 자료형으로, 유니코드 문자 저장 가능.
- 예시: char ch = 'A';
8. String: 문자 여러개 표현 가능
- 예시: String st = "안녕하세요";
9. boolean : 1 바이트 크기의 논리형 자료형으로, true 또는 false 값 저장 가능.
- 예시: boolean flag = true;
변수와 상수
변수란 변(할 수 있는) 수 라고 생각하면 된다.
어떤 값을 정했고 그 값을 계속 적용시키려고 할 때, 계속 수를 적는 것은 정말 비효율의 끝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이 기계의 전선 하나 하나 동작 시킬 때마다 계속 만지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그렇기에 변수를 사용해서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
상수는 상(시 그대로인) 수 라고 생각하면 된다.
값이 변할 수 없다는 뜻이다.
어떠한 로봇을 만들기 위한 프로그램을 짜고 있다고 생각해보자.
절대 바뀌면 안되는 값들이 있을 것이다. (ex. PI, 로봇 이름, 꼭 필요한 공학적 수식)
따라서 프로그램 실행 중에 값이 변경되지 않도록 하여 프로그램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한다.
예시 코드를 봐보자. 아직은 모르는 게 많을 수 밖에 없다. 점점 더 내용을 풀면서 이어나가겠다.
변수 사용
이런 식으로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수를 봐보자
상수 사용
이렇게 final을 붙여서 상수 표시를 하게 되면 상수를 바꾸려 할 때 빨간 줄이 생긴다.
왜 오류가 생겼는지 볼까?
이렇게 상수를 바꾸려 하면 값을 새로 대입 하는 것이 불가능 함을 알 수 있다.
자바의 제어문과 반복문까지 공부하면 객체 지향만의 재미를 알 수 있는 클래스와 메서드 내용들이 나오니 기대해도 좋다.
'Languag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다형성의 본질과 활용 (1) | 2024.12.31 |
---|---|
[Java] String / StringBuffer / StringBuilder 차이점 (0) | 2024.10.04 |
[Java] 인터페이스 (50) | 2024.06.22 |
[Java] 멤버 변수 초기화에 관하여 (52) | 2024.06.21 |
[Java] 형변환, 조건문, 반복문 (46) | 2024.06.14 |